fnctId=bbs,fnctNo=2189 RSS 2.0 총 465 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게시글 리스트 이재원 교수, ‘호박꽃’ 테마 작품으로 국내 주요 미술대전 연이어 수상 새글 독일어과 이재원 교수가 최근 국내 주요 미술대전에서 연이어 수상했다.이 교수는 세계미술작가협회가 주최한 2025 13th Art Challenger 에서 금상, (사)한국정수문화예술원이 주최하는 제26회 대한민국정수미술대전 에서 장려상, 그리고 11월 20일부터 24일까지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에서 열린 제31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에서 특선을 각각 수상했다.이번에 출품된 작품은 이 교수가 최근 집중적으로 작업해 온 호박꽃 시리즈 의 연작으로, 고향 인평리에서 한여름 만개한 호박꽃을 주제로 한다. 황금빛 꽃잎이 햇살을 받으며 살아 움직이는 듯한 풍경을 포착해 자연의 생명력, 빛의 변화, 바람과 흙의 분위기를 화폭에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았다.심사위원단은 꽃 한 송이에서 느껴지는 여름의 정취를 이렇게 생생하게 담아낸 작품은 드물다 고 호평하며, 작품의 자연 묘사와 감각적 표현을 높이 평가했다.이재원 교수는 고향 마당에서 평범하게 볼 수 있는 소박한 풍경이지만, 그 속에서 느낀 여름의 찬란함과 생명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고 전했다.[ 인평리 I 이재원 acrylic on canvas 116.8cm x 80.3cm][ 인평리 II 이재원 acrylic on canvas 116.8cm x 80.3cm][ 인평리의 9월 이재원 acrylic on canvas 116.8cm x 80.3cm] 작성일 2025.11.25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22 정윤재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제 22대 한국광고홍보학회장 선출 새글 우리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정윤재 교수가 지난 15일 개최된 한국광고홍보학회 정기총회에서 제22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내년 11월부터 1년간이다.1998년 창립된 한국광고홍보학회는 광고 홍보학계 및 산업계 종사자 간의 교류와 학술활동을 적극 지원하며, 국내 광고홍보학의 학문적 발전과 산업 성장에 기여해왔다. 현재 학회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 『광고홍보학보』와 『광고연구』를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작성일 2025.11.21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81 양재완 교수, THE–NIIED 공동 웨비나에서 좌장 맡아 경영학부 양재완 교수(국제교류처장, 전국대학교국제처장협의회 회장)는 11월 4일(화) Times Higher Education(THE)과 국립국제교육원(NIIED)이 공동 개최한 웨비나 「Expanding South Korea s Role i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에서 좌장(Moderator)을 맡아 행사를 이끌었다.이번 웨비나는 한국 고등교육 국제화의 현황과 도전과제를 점검하고, 국가 차원의 국제화 전략과 글로벌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전국 대학의 평가 및 국제교류 담당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에는 Mei Mei Lim THE 아태지역 대표, Sylvia Kee THE 한국 대만 지역 디렉터, 한상신 국립국제교육원장 등이 참여해 다양한 관점을 공유했다.발표와 토론에서 THE 측은 2025~2026년 세계대학평가(WUR) 데이터를 분석하며, 한국 대학들이 산업 연구 분야에서는 강점을 보이는 반면 국제공동연구 및 국제화 지표에서는 개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해외 협력 네트워크 확대와 데이터 기반 파트너십 전략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좌장을 맡은 양 교수는 발표자 간 논의를 조율하며 이번 웨비나는 한국 고등교육이 글로벌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며 대학의 국제화는 단순한 교류를 넘어 교육의 질과 연구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며, 한국 대학의 강점을 국제협력과 결합한다면 새로운 글로벌 리더십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작성일 2025.11.06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224 임대근 교수, 연합뉴스 수용자권익위원회 위원 재위촉 임대근 교수(Culture Technology융합대학장)가 제16기 연합뉴스 수용자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재위촉되었다. 임 교수는 제15기 위원으로 활동해 왔으며, 이번 임기는 2025년 11월부터 2026년 10월까지다.임 교수는 우리 대학 홍보실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활발한 언론 활동을 펼치고 있다. YTN 라디오 3분 차이나 고정 진행을 비롯해 매일경제, 중앙일보, 아주경제 등 주요 매체에서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최근에는 머니투데이와 이투데이의 고정 칼럼니스트로 활약하며 시의성 있는 분석과 전문적 시각을 전달하고 있다. 작성일 2025.11.06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237 오종진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학과 교수, 국내외 주요 매체에 잇달아 기고 오종진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학과 교수(아시아언어문화대학장)는 최근 MBN을 비롯해 튀르키예 유력 영문 일간지 『Daily Sabah』, 국제 학술출판사 Palgrave Macmillan 등 국내외 주요 언론 학술 플랫폼에 연이어 기고문과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오 교수는 특수외국어와 중요 외국어의 전략적 가치, 터키학의 소프트파워 활용, 그리고 한국-튀르키예 간 공공외교 협력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언어 문화 교육이 국가 경쟁력과 국제협력의 기반임을 강조했다.◎ MBN 문화면 기고 「특수외국어, 국가안보와 미래성장의 전략자산」(10. 28.)오 교수는 특수외국어 역량이 단순한 의사소통을 넘어 국가 안보 외교 경제협력 미래 성장의 핵심 전략 자산임을 강조했다. 영화 〈교섭〉 사례와 아프가니스탄 피랍 협상 과정을 언급하며, 현지 언어 문화 이해가 국가 역량과 직결된다는 점을 설명했다. 또한 한국외대의 특수외국어 인재 양성 역할을 다시 한번 환기했다.👉 기사 원문 보기: MBN 문화 | [기고] 특수외국어, 국가안보와 미래성장의 전략자산◎ Daily Sabah 기고 「Critical Foreign Languages: Key to Elevating T rkiye as Global Leader」(10. 20.)이 글에서 오 교수는 튀르키예가 글로벌 리더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중요 외국어(Critical Foreign Languages) 의 전략적 육성이 필수임을 강조했다. 한국의 「특수외국어 진흥법」과 한국외대 사례를 주요 비교 대상으로 제시하며, 언어가 국가 간 신뢰를 구축하는 소프트파워의 핵심 도구임을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사항들은 튀르키예의 Asia Anew Initiative(신아시아정책) 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분석했다.👉 기사 원문 보기: Daily Sabah | 「Critical Foreign Languages: Key to Elevating T rkiye as Global Leader」◎ Daily Sabah 기고 「Beyond Culture: Turkish Studies as T rkiye s Strategic Soft Power Asset」(9. 10.)오 교수는 터키학(Turkish Studies)이 단순한 학문 연구를 넘어 튀르키예의 공공외교와 소프트파워의 핵심 자산임을 강조했다. 한국외대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학과의 52년 역사와 1,100명 이상의 졸업생 성과를 소개하며, 양국의 문화 외교적 연결 고리로서 학과의 역할을 설명했다. 나아가 터키학 전공 인재가 국제사회에서 비공식 대사(Un-official Envoys) 로 활약할 수 있음을 언급했다.👉 기사 원문 보기: Daily Sabah | 「Beyond Culture: Turkish Studies as T rkiye s Strategic Soft Power Asset」◎ Palgrave Macmillan 신간 공동연구 참여 『T rkiye s Public Diplomacy Ecosystem』(2025)오 교수는 영국 Palgrave Macmillan에서 출간된 국제 공동연구서 『T rkiye s Public Diplomacy Ecosystem: A Reflection on Evolving Practices』(2025)의 제9장 집필에 참여했다. 그는 한국의 신북방정책 과 튀르키예의 Asia Anew Initiative 를 비교 분석하며, 언어 문화 교육 협력을 기반으로 한 중견국 외교 모델을 제시했다. 또한 HUFS와 TİKA, Yunus Emre Institute 등 주요 기관 간 협력 사례를 통해 한국외대가 터키 공공외교의 주요 파트너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Book Link | 『T rkiye s Public Diplomacy Ecosystem』(2025) 작성일 2025.11.06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279 김규진 체코·슬로바키아어과 명예교수, '2025 한반도통일공헌대상' 수상 우리 대학 체코 슬로바키아어과 김규진 명예교수가 지난 10월 1일(수) 서울 한국교회1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제13회 2025 한반도통일공헌대상 시상식 에서 교육부문 공헌대상을 수상했다. 한반도통일공헌대상 은 사단법인 우리민족교류협회 대한민국평화통일국민문화제 조직위원회가 주관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민족 화합을 위해 공헌한 인사를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이번 상패는 6 25전쟁 당시 사용된 탄피와 비무장지대 철조망 등을 녹여 제작되어, 평화의 의미를 더욱 깊게 새긴 것으로 알려졌다. 작성일 2025.11.04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206 노명환 명예교수, ‘김대중학술상’ 수상 노명환 사학과/정보 기록학과 명예교수가 지난 9월 26일 열린 김대중평화회의에서 김대중학술상 을 수상했다. 김대중학술상 은 제15대 대통령이자 2000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김대중의 철학 사상 정치 정책 리더십 등에 대한 학술연구를 장려하고 그 업적을 널리 알리기 위해 김대중평화센터, 전라남도, 김대중학술원이 2023년 공동으로 제정한 상이다. 이 학술상은 위 기관들에 의해 격년으로 개최되는 김대중평화회의에서 수여된다.노 교수는 저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김대중의 생애, 사상, 정책의 의미』(2024, 신서원)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애, 사상과 정책을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 시대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그의 리더십이 오늘날 평화, 상생, 사회적 혁신과 포용적 성장의 모델로서 갖는 의의를 심도 있게 분석했다. 이 저서를 통해 노 교수는 김대중 사상의 현대적 계승 가능성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5년 김대중학술상을 수상했다. 작성일 2025.10.15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395 정윤재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제일기획 학술상 수상 정윤재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가 오혜라 박사수료생과 함께 한국광고학회가 주관하는 올해의 논문상인 제일기획 학술상 을 수상했다.수상 논문은 「오리지널 콘텐츠 유튜브 채널은 브랜드화가 가능한가?」로, 광고학연구 제35권에 게재되었다.이번 수상은 제30대 한국광고학회에서 진행된 제14회 제일기획 학술상에서 선정된 것이며, 시상식은 오는 10월 24일 소노캄 여수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작성일 2025.10.15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483 유달승 교수, 한국대학신문 기고 “AI 시대, 전략어 교육이 국가경쟁력을 결정한다” 페르시아어 이란학과 유달승 교수는 9월 19일자 한국대학신문에 「AI 시대, 전략어 교육이 국가경쟁력을 결정한다」라는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칼럼에서 유 교수는 인공지능이 확산되는 시대에도 언어와 문화적 맥락을 깊이 이해하는 전략어 인재가 국가 안보, 산업 경쟁력, 외교 역량을 좌우하는 핵심 자산임을 강조하며, 체계적인 전략어 교육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특히 전략어 교육의 중요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했다.첫째, 전략어 인재는 인공지능이 처리하기 어려운 한계를 보완하며, 맥락의 정확성을 담보하는 국가적 안전망이 된다. 둘째, 전략어 역량은 신흥시장 진출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고, 현지 언어와 문화를 이해해 리스크를 관리하고 산업 및 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핵심 기반이 된다. 셋째, 전략어 역량은 외교 다변화 시대에 현지 언어로 직접 소통해 관계 자본을 구축하고, 위기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국익 수호에 핵심 도구가 된다.마지막으로 유달승 교수는 전략어 인재 양성을 위한 체계적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언어별, 권역별 장기 교육과정, 지역학 융합교육, 현지 연수, 인턴십, 그리고 졸업 이후의 안정적 진로 설계까지 아우르는 로드맵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유달승 교수는 AI가 발전할수록 인간 고유의 언어 및 문화 해석 능력이 국가 전략자산이 된다 며, 지금의 선택이 미래 대한민국의 운명을 결정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대학신문 「AI 시대, 전략어 교육이 국가경쟁력을 결정한다」바로가기 작성일 2025.09.23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836 강기훈 교수, 제2기 용인특례시 시정자문위원 위촉 통계학과 강기훈 교수가 9월 11일 용인특례시청에서 열린 『제2기 용인특례시 시정자문위원회 위촉식』에서 자치행정분야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 강 교수는 제1기에 이어 연임 위촉된 위원으로, 지난 1기에서는 자치행정분과 위원장을 맡아 활발히 활동했다.제2기 위원회는 자치행정, 문화체육, 경제환경, 도시건설 등 4개 분야로 구성되었으며,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위원들은 앞으로 2년간(2025.9~2027.8) 용인시 정책 수립 전반에 대해 자문과 권고, 제안을 수행하게 된다.강 교수는 위촉 직후 열린 전체 회의에서 용인은 반도체 산업의 전략 거점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며, 한국외대가 반도체 및 AI 분야의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 모델을 발굴하고 데이터 기반 정책을 적극적으로 제안하겠다 고 밝혔다. 또한 글로벌캠퍼스 인근 도로를 글로벌문화거리 로 조성해 대학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관심을 모았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전문성과 현장성을 갖춘 자문위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실효성 있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겠다 며 강 교수 등 위원들의 활동에 대한 기대를 전했다. 작성일 2025.09.23 작성자 전략홍보팀 조회 801 처음 147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끝 -